목록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23)
간새다리의 한국어 가르치는 이야기
* 2009년 12월 19일에 썼던 글입니다. 비공개했다가 다시 공개합니다. 10년이 훨씬 넘은 내용이니 감안하고 읽어 주세요. 노파심에 의한 사족 : 누누이 강조하지만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한국어를 가르치는 일이 다른 직업과 비교해서 '매우 힘들다'거나 '매우 열악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열악한 부분도 존재하지만 제가 이 블로그를 통해서 하고 싶은 것 중 한 가지는 '허상 깨기'입니다. 사람들이 한국어 강사라는 직업에 대해 떠올리는 모습 중 과대 포장된 부분을 실제 경험을 통해 벗겨내고 싶은 것이죠. 그런 것을 염두에 두고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간혹 한국어 강사라는 직업을 소개하는 기사를 읽을 수 있다. 그런 기사에서 공통적으로 소개하는 이 직업의 장점 중 하나가 바로, '시간을 자유롭게 쓸..
* 2013년 2월에 쓴 글을 비공개로 돌렸다가 다시 공개합니다. 그래서 현재 상황과 맞지 않는 것도 많이 있으니 감안하고 봐 주세요. 제가 이전에 쓴 글들에 대해 변명을 하자면, 당시 분위기와 상황 상, 한국인 또는 한국계가 아닌 한국어 강사가 많지 않던 시절이었고 해외 기관들이 활성화 되는 초창기이다 보니 한국어 교육 기관이 지금보다 훨씬 더 국내 중심적이었기 때문에, 저도 제 글을 읽는 분들과 일반적인 한국어 강사를 '한국인'으로 상정해 글을 썼고 특히 이 글에서는 국내 기관들이 더 체계가 잡혀 있는 것을 전제로 했습니다. 지금도 한국어 교육계가 국내 중심적인 점이나 국내 기관들이 상대적으로 체계적인 경우가 많은 점은 비슷하지만 이 글 속의 시점보다 해외 기관이 훨씬 더 발전했고 인프라도 더 다양해..
* 이 글은 2010년 10월에 포스팅 했다가 비공개로 변경해 놓았던 글입니다. 요즘 블로그를 다시 들여다 보면서 비공개로 돌렸던 글들을 다시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글이라 현재 상황에 맞지 않는 것도 있음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유는 링크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 복사해 옮기시면 커뮤니티 운영진에게 삭제 요청하겠습니다. 댓글은 가능하면 '공개'로! 글에 공감하신다면 아래 공감도 눌러 주시고 구독도 부탁 드립니다. 현재 일하고 있는 기관은 정규 수업뿐 아니라 단기 프로그램이나 특별 프로그램도 꽤 많이 진행하는 편인데 그동안 나는 특별 프로그램이나 단기보다는 정규 수업을 많이 해 왔다. 그러다가 이번 여름에는 어찌하다 보니 정규 수업은 못하고 특별 프로그램만 네 개를 맡게 되어 지난 한 달 반..
*이 글은 2013년 6월 25일에 포스팅했던 글입니다. 종종 질문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질문을 받아 답변을 한 적이 잠깐 있는데 그때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석사1학기를 하고 있는 30대, 주부입니다. 여전히 집안이 좋거나 남편을 잘 만나야 할 수 있는 직업이라는 인식이 없지 않은 상황이고, 학부에서 전공을 한 것도 아니고, 기본 이상으로 하는 외국어 하나도 없으면서 덜컥 입학을 했습니다. 오래할 수 있는 일, 의미있는 일을 하고 싶었고 그게 한국어선생님이라고 생각해서요. 너무나 다행인 건, 공부하는 것이 재밌고 즐겁다는 것이구요, 참 큰일인 건, 몰라도 너무 몰라서 상태가 학부 1학년생 같다는 것입니다.ㅠ 실은 나이도 적잖은 큰 일 중에 하나였는데 그 부분은 선생님의 게..
*이 글은 2009년 10월 18일에 썼다가 나중에 비공개로 전환했던 글입니다. 갈수록 전형 방식도 더 까다로워져서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고 지금은 저보다 뛰어난 노하우를 가진 분들도 많아 쑥스러워서 비공개로 전환했는데 다시 공개해 봅니다. 12년 전이라는 걸 감안하고 읽어 주세요. 공유는 링크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 복사해 옮기시면 커뮤니티 운영진에게 삭제 요청하겠습니다. 글에 공감하신다면 아래 공감 버튼도 꾸~욱 눌러 주세요. 댓글은 가능하면 '공개'로! 사실, 이 블로그의 네 번째 글은 시기가 시기이니 만큼 '비정규직'에 대해서 쓰려고 했다. 그런데 지난 게시물에서 시스템에 대한 불평을 늘어 놓았기 때문에 이번에는 그건 좀 자제를 하고 좀 도움이 될 만한 글을 쓰기로 했다. 그렇게 결정한 이..
*이 글은 2009년 11월 29일에 포스팅했던 글입니다. 너무 주관적이기도 하고 이니셜을 이용했지만 주변인의 이야기가 들어가서 비공개로 돌렸던 글을 조금 수정해서 다시 포스팅합니다. 연결된 글을 또 쓸 것 같기도 하고..해서요. 글 속 인물들은 이제 다른 길을 걷고 있네요.^^ 첫 번째 주제치고는 너무 식상한가? 그렇지만 이 식상함은 첫 번째 주제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견뎌야 하는 것이고 또 이 자질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가장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글을 쓰는 입장에서 나의 부족한 국어 실력(특히 띄어쓰기)이 드러나는 자리에서 다루기에 부담스러운 주제다. 아마 사람들은 반문할 것이다. 한국어 강사로서는 '원어민 강사'인 한국인인데 국어 지식을 굳이 갖추고 말고 할 것이 있냐고. 지금 이대로도 ..
*이 글은 2009년 10월에 포스팅했던 글입니다. 글의 내용이 10년이 지난 현재 시점에서 볼 때 너무 낡은 정보인 것 같아 비공개로 해 뒀다가 다시 공개합니다. 2009년의 글임을 감안하고 읽어 주세요. 제일 마지막에 붙인 '제안' 부분도 포스팅 당시에 쓴 부분으로 현재 제안하는 것은 아닙니다. 원본 그대로 재 포스팅하기 위해 남겨 뒀습니다. 지난 번 게시물의 조회수를 보니, 한국어 강사에 대한 관심이 많기는 많은가 보다. 그렇지만 한국어 강사를 꿈 꾸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미안하지만 한국어 강사를 꿈 꾼다면 당신은 비정규직 노동자가 되기를 꿈 꾸는 것이다. 당신들은 비정규직 노동자가 되기 위해서 대학원에 진학해야 한다. 물론, 요즘 같은 취업난에 석사 아니라 박사 학위가 있어도 비정규직 근로자가 되는..
한국어 강사라는 직업에 관심을 갖고, 한국어 강사가 되는 방법을 찾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부딪히는 해결 과제 중 하나가 '어떤 자격 조건을 갖출 것인가'일 것이다. 그래서 이 블로그에도 그렇고 한국어 강사 커뮤니티에도 그렇고 자격증, 대학원 진학과 관련한 질문들이 많이 올라 온다. 전에도 블로그에서 대학원과 양성과정을 비교하여 쓴 글이 있었지만 요즘에는 대학원이냐 양성과정이냐의 문제보다는 2급 자격증이냐 3급 자격증이냐, 2급 자격증이라면, 어떤 경로를 통해 2급 자격증을 취득할 것이냐가 이슈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글을 한 번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단, 한국어 교원 자격증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보자[각주:1]. 교원 자격증의 등급과 승급 제도는 다음과 같다.(출처 국립국어원) 요즘에는 학위 과정을 통..
한국어 강사 커뮤니티에 자주 들어가 보고 글도 더 많이 읽고 하는 편이다. 그런 커뮤니티의 경우 강사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더 많이 들어와서 그런지 과거에 내가 수업 준비를 하다가 가졌던 질문을 던지는 사람도 많고 아직 외국어로서 한국어에 접근하는 방법을 잘 모르는구나...싶은 경우도 많다. 그러다 보니 오지랖병이 도져서 조언해 주고 알려 주고 싶은 게 자꾸 생긴다. 특히, 특정 문법 교수법이나 어휘 설명 등에 대한 질문과 그에 대한 댓글들을 보면 해 주고 싶은 얘기가 있어서 대신 여기에다가 쓰려고 한다. 커뮤니티에 올라오는 문법에 대한 질문과 그에 대한 댓글을 보면 의외로 한국어 강사가 되고 싶어하거나 막 시작한 사람들 중 많은 수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로서 어떻게 한국어 문법에 접근..
이번 질문은 이메일로 받은 질문입니다. 교육대학원 면접을 합격하고 어느 학교를 갈지 고민 중이신 분입니다. 거두절미하고 질문의 핵심 부분만 옮깁니다. 특정 학교의 이름은 이니셜 처리했습니다. 제 답변을 읽으시면 학교 이름이 안 중요하다는 걸 아실 겁니다... 1. (전략) 한국어교육계 종사하시는 분으로서 한국어교육 전공 대학원 중 A학교와 B학교 중 어느 학교가 훨씬 한국어 교육방면(예를 들면 수업의 질)과 취업시 졸업생 배려등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학교인지 개인적인 의견 주시면 정말 감사히 받아들이겠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학비 저렴하고 교수진도 괜찮은 B대가 좀 더 끌리긴 합니다만....A대의 네임밸류도 무시할 수 없어서.... 2. 어학당에 나이 많은 사람은 취업하기 힘든가요? 그리고 글들을 읽다보..